생각정리노트

왓칭(3/15-3/16) 본문

네비게이션/독서내용 기록

왓칭(3/15-3/16)

★★★★☆★☆★☆★☆ 2016. 3. 16. 11:40

예스24에서 왓칭2가 보이길래 호기심에 눌러보았다. 2편 평이 좋길래 궁금해서 1편부터 보기로 했다.
좀 읭? 스러운 부분이 있긴했지만...ㅋㅋ 정신다스리고 나를 이성적으로 객관화해서 보고, 그로인해 더 나은 내가 될수 있다는 의견에 동의한다. 안읽고 무자비하게 까일만한 책은 아닌데... 요즘에 일부 부분만 읽고 저자 깎아내리는 곳이 많은듯해서 별로다.
저자에게서 하나라도 배웠고 긍정적 영향을 받았으면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그런 사람들 보면 마인드와 자세가 뭐랄까... 남잘되는 꼴은 못보겠다는 열폭자들의 느낌이 든다. ㅠㅠ



92

나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내가 원하는 새로운 행동을 머릿속에서 미리 이미지로 그려 바라보라는 것이다. 그럼 관찰자 효과에 따라 그 이미지가 현실로 나타난다. 그런데 이미지를 어떤 방식으로 그리느냐에 따라 또 차이가 난다. 나를 나라고 상상하는 것보다 나를 남이라고 상상하는 게 훨씬 성공률이 높다(예를 들어 자신을 'A'라는 이름의 낯선 사람으로 보아도 좋다).

왜 이런 차이가 날까? 나의 눈으로 나를 바라보면 나의 감정에 휘말려들어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지 못한다. 그럼 선명한 이미지 형성에 방해가 된다. 하지만 나를 남이라고 상상하면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어 이미지가 더 선명해진다. 이미지가 선명할수록 제대로 바라보게 되고,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은 그만큼 더 높아진다.


97

한 번 해보고 나면 왜 안떨릴까? 그건 내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분명하고 선명한 이미지가 그려지기 때문이다. 즉, 미래의 행동이 선명한 이미지로 그러질수록 떨리지 않게되고, 자신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선명한 이미지는 완벽한 리허설이 만들어낸다.


101

"자신을 남으로 객관화시켜 바라보는 건 인생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는 데 매우 훌륭한 기술이죠. 노력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그러다 보면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도 더 많이 하게 되지요" - 오하이오 주립대학 Lisa Libby 교수


111

우리가 목표를 정해놓고 실행하지 못하는 건 실행과정을 구체적으로 머릿속에 미리 그려 놓지 않기 떄문이다. 과정없는 결과는 없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그려 바라보면 그대로 일어난다. 과정이 구체적일수록 이미지도 그만큼 더욱 선명하게 그려진다. 초일류 스포츠 선수들이 이미지 훈련을 할 때도 경기과정을 최대한 생생하게 그린다. 그러다 보면 우승컵을 거머쥔 장면도 자연히 쉽게 그려질 수밖에 없다. 과정을 생략한 채 억지로 성공 이미지만 그리려 들면 무의식적으로 의심이 스며들어 이미지가 흐려진다. 이미지는 의지로 그려지는 게 아니라 고요한 마음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114

* A그룹 : 나는 앞으로 매주 조깅을 하겠다

* B그룹 : 나는 앞으로 매주 조깅을 하겠다. + 나는 (   ) 부터 매주 ( )요일마다 ( ) 에서 최소한 ( )분간 조깅을 하기로 했다.

= A그룹 학생 중 29% 목표 실행, B그룹 학생 중 91% 목표 실행


Q1 몇시간 공부할래? 

A1 평균 10시간 공부

Q2 언제 어디서 몇시간씩 공부할래?

A2 평균 35시간 공부


196

못난 외모를 장점으로 바꿔놓은 한 마디

제 첫인상을 보시고 실망하셨죠? 저런 얼굴로 어떻게 감히 방송국에 지원하나 하고요. 첫인상은 타고난 거라 저도 어쩔수 없어요. 하지만 끝인상 만큼은 책임질 수 있습니다. 노력으로 할 수 있는 일, 뒷바라지가 필요한 일, 끝인상을 책임질만한 일은 무조건 자신있습니다.

나느 속으로 감동했다. 그녀는 그 몇 며디로 면접관들의 '불쾌'신호를 일거에 꺼버렸다. 그런 다음 자신의 외적인 약점을 상쇄시키고도 남는 내적인 장점을 언급했다. 이것이 약점을 장점으로 뒤바꿔놓는 마술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