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정리노트

노산나이 진입 - 임신준비가 아니더라도 건강검진 무료로 받아보면 좋을 듯 본문

치료과정 기록

노산나이 진입 - 임신준비가 아니더라도 건강검진 무료로 받아보면 좋을 듯

★★★★☆★☆★☆★☆ 2022. 9. 23. 16:06

노산나이 진입 - 임신준비는 아니더라도 임신가능한지 무료검진 받아보기

 

노산이지만 건강하게 순산했다는 희망찬 이야기보다는 현실적인 이야기가 더 중요하고 와닿게 느껴지는 편이라서 한번 생각을 해보았다. 내가 아이를 가지고 싶을때 가지려면 건강이 따라줘야한다는게 팩트. 그래서 당장 임신할 건 아니라도 우선 검사라도 받아보자는 생각이 들어서 바로 알아보았음.

이 블로그의 치료과정 카테고리의 글들을 보면 알겠지만 내가 여성적으로(?) 아이를 가지기에 튼튼한 편이라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아직 부모가 아니라서 그런지 한 생명을 키우고 책임져야한다는 상황에 놓인다는 것이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상황.

 

그치만 이제 '만 나이'를 기준으로 따져도 빼박 노산이다... 걸치는 정도가 아니라 그냥 노산 ^_ㅠ

모르고 살다가 얼마전에 기 표 보고 좀 충격받아서, 바둑이 보여줬더니 '2020년 기준이네?' 하면서 출처가 어딘지부터 따지고 보더라는. 표만 보고 연도는 확인안했는데, 심지어 2년전인 2020년 기준임. 

대한산부인과협회 연구데이터 - 노산기준
대한산부인과협회 연구데이터 - 노산기준

생각해보니 임신도 타임어택이고 내 동갑 친구들 중 2명이나 난임이다가 힘들게 아이를 가졌다.

둘다 결혼은 5~6년전쯤 했는데 아이가 없었고. 겉으로는 임신 전까지는 아기생각 없다고 했는데 만나서 대화해보면 사실 너무아이를 원했는데 임신이 안되다가 안정기 정도 되어서야 속이야기 털어놓는..^_ㅠ

 

친구A는 3년 준비해서 겨우 임신성공, 올 4월에 아기 출산.

친구B는 시험관 1년하고 임신 성공했으나 유산, 다시 6개월 준비해서 성공.

 

아무튼 나도 임신하기에 건강한 몸이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임신 전 건강검진 비슷한 게 있는지 알아보다가 발견한 정보.

임신한 동기가 보건소에 무슨 검사같은거 받으러 간다고 들어본 기억이 나서, 구청홈페이지를 찾아보니 있었다.

 

이름하여 '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이라는 프로그램이었고, 서울시민이고 임신 준비하는 남녀에게 지원해주는 사업인듯. 

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

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은 건강한 2세를 꿈꾸는 가임 남녀들에게 임신에 장애가 되는 고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견하고, 중재관리 할 수 있는 임신 전 건강관리 프로그램

 

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

대상 : 서울시민 중 서초구에 거주하거나 재직 중인 가임기 남녀(연1회)
※서초구민(주민등록등본) 또는 직장이 서초구인 대상자(재직증명서로 확인)

이용시간 : 화, 목 오전 9시~11시(검사전날 밤 10시부터 금식, 적당량 물섭취 가능)
장소 : 서초구보건소 1층 모성영유아실, 위탁의료기관
준비물 : 신분증(서울시 등록자)
내용
건강설문 : 생활양식과 환경, 영양, 병력, 감염성질환 및 면역, 약물복용, 가족력, 습관적 음주력, 정신질환, 생리 및 임신력 등 설문조사(서울시임신출산정보센터 http//seoul-agi.seoul.go.kr 회원가입)
건강검진
공통항목 : 신체계측, 소변검사, 흉부방사선, 혈액검사 등
남 : 정액검사(검진의료기관 의뢰), 여 : 난소기능 검사(AMH검사, 전화예약 필수)
엽산제 제공
임신 전 엽산제 복용으로 임신 초 발생 가능한 선천성 기형 예방
임신 3개월 전부터 부부 함께 복용하도록 3개월분 지급
문의처 : 서초구보건소 1층 모성영유아실(☎ 02-2155-8065, 8067)

나는 서초구 거주자라 서초구 홈페이지에서 보고 회원가입해서, 서초구 기준으로 정보 안내가 되는 것 같다. 

내가 볼드표시 해둔 부분 '난소기능검사(AMH 검사, 전화예약 필수)' 때문에 보건소 담당부서로 전화 문의를 했다.

친절하게 설명해주셔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1. '서울시 임신출산센터'에 회원가입

https://seoul-agi.seoul.go.kr/smom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

영유아 응급상황 대처법 열성경련, 낙상, 화상, 기도폐쇄, 심폐소생, 응급상황에서의 중요한 원칙

seoul-agi.seoul.go.kr

2. 본인인증하고 가입가능. 가입할때 현상황 '임신준비' 상태로 체크

3. 가입하고 왼쪽상단 [모자보건서비스 안내] - [서울시 남녀임신준비 사업] - 하단 신청버튼 클릭 (온라인 신청)

 

 

화/목요일이 모두 가능하다고 해서 가장 빠른 날짜인 9/27(화)에 가고 싶었으나, 그날은 검사 예약자가 꽉 차서 9/29(목)이 가능하다고 했다. 뭐든 알아보면 빨리 빨리 해버리고 싶은 성격이라 (그만큼 빨리 질리기도 함)

서울시 임신출산센터 회원가입 화면
서울시 임신출산센터 회원가입 화면

체크하면서 보니까 혜택이 생각보다 좋다.

단순 임신준비 지원사업만 해주는게 아니라,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사업까지 신청가능하다고 쓰여있다.

전에 친구A가 한약도 먹고 다해보았는데 힘들다고 했던게 생각이 났는데, 시에서 한의약 난임치료까지 지원한다니.

지원금이 얼마인지는 몰라도 하무튼 혜택이 이렇게 있는지 몰랐는데 생각보다 괜찮은 듯 하다.

 

 

3. 가입하고 왼쪽상단 [모자보건서비스 안내] - [서울시 남녀임신준비 사업] - 하단 신청버튼 클릭 (온라인 신청)

온라인 신청 버튼을 누르면 아래 그림처럼 신청,처리 절차화면 안내가 나온다.

거주지 또는 직장 인근 자치구 보건소를 기준으로 접수가 되는 것 같다.

서초구 기준으로 보건소 정보 안내가 자동으로 나오는데, 서울시에서 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보건소 주소만 다를 뿐이고 서울 다른구에서도 안내가 동일할 것 같다.

 

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 - 온라인 서비스 신청·처리 절차
서울시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 - 온라인 서비스 신청·처리 절차

 

세부정보 : 지원대상, 내용,  신청방법, 지원자격, 제출서류, 유의사항, 비용(무료)

지원 대상
  • 서울시민 중 서초구에 거주하거나 재직중인 가임기 남녀(연1회)-서초구민(주민등록등본) 또는 직장이 서초구인 대상자(재직증명서로 확인)
지원 내용
  • 종합비타민(엽산제, 비타민D 포함) 3개월 분 제공
  • 남성건강검진(정액검사) 의뢰서 발부
  • 남녀혈액검사 실시(화,목 오전 09:00~11:00)-검사 전날 10시부터 금식, 간단한 물섭취 가능

신청 방법

  • 남/녀 각각 회원가입 후 온라인신청-본인인증 및 건강방문일까지 작성 완료
  • 신청 후 서초구 보건소(양재역 12번 출구, 1층 모성영유아실) 방문
  • 혈액검사 가능 요일 : 화,목(09:00~11:00) 검사전날 밤 10시부터 금식, 적당한 물섭취 가능

온라인 신청 기간

  • 별도 신청기한 없이 연중 시행(연 1회 가능)
지원 자격

.  서울시민 중 서초구에 거주하거나 재직 중인 가임기 남녀(연1회)

   - 서초구민(주민등록등본) 또는 직장이 서초구인 대상자(재직증명서로 확인)

지원 장소
  • 서초구 보건소(양재역) 1층 모성영유아실
제출 서류(온라인)

.

제출 서류(방문시)
  • 서초구 주소 기재된 신분증 또는 주민등록등본(남/녀 각각 지참)
  • 등본에 기재가 안된 경우, 남/녀 각각 신분증, 웨딩계약서 또는 청첩장
  • 서초구에 재직중인 서울시민은 재직증명서
유의 사항
  • 서초구보건소에서 가능한 지원은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1. 엽산제 제공(인당 3달분)

       2. 남성건강검진의뢰서(정액검진의뢰서) 발급

       3. 남녀 혈액검사 (화,목 오전 09:00~11:00, 예약필수)

     

  • 설문지 맨 마지막 "건강검진 방문일"에 날짜를 기입하셔야 설문조사가 완료됩니다.

            (건강검진 방문일은 보건소 방문일입니다.)

문의 안내

• 서초구 보건소 02-2155-8065

기타 안내 사항
  • 서초구 보건소 방문시간 : 평일 9시~11시 00분, 13시~17시 00분 (혈액검사는 확,목 오전 09:00~11:00만 진행, 점심시간 12시~13시 제외)
비용 안내
  • 무료

위 안내를 보니까 일회성이 아니라 '연1회'라는 점!!

올해 검사받고 내년에 또 검진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보건소에서 한사람당 3개월치 엽산도 제공하고, 건강검진까지 받을 수 있고 이 모든게 무료다!!!

주민세, 재산세 내면서 아깝다는 마음이 들었는데 이렇게 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이용할 건 알차게 이용해야겠다.

도서관도 3곳 왔다갔다 하면서 열심히 다니고 있는데 건강관련 서비스도 잘 이용해보아야겠다.

 

위 안내화면이 나오고 다음 버튼을 누르면 끝일 줄 알았는데 또 설문이 나옴.^^

 

임신준비 건강평가 설문임신준비 건강평가 설문

임신준비 건강평가 설문 안내
임신준비 건강평가 설문

01 사업목적
본 사업은 서울시민으로서 건강한 2세를 꿈꾸는 가임 남녀들에게 건강한 임신에 장애가 되는 위험요인들을 평가 하여 제거할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결과적으로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돕기 위한 것입니다.

02 사업 방법 및 절차
임신 준비 남녀는 무료로 참여 가능합니다. 절차는 1)엽산제 복용 설명 및 엽산제 제공 2)남녀 임신준비 설문작성 3)임신준비검사(혈액, 소변검사, 정액검사 등) 4)지자체 보건소에서 설문 및 검사에서 이상 및 개선사항 평가 5) 이상 및 개선사항 중재 순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홍보용 남녀임신준비프로그램 브로셔를 참고바랍니다.

03 사업 참여 대상
서울시 해당 지자체 거주자 또는 해당 지자체 사업소에 근무자로서 임신을 준비예정이며 이 사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동의서에 서명하신 가임 남녀로 한정합니다. 
사업 기간 중 언제든 참여 의사를 철회하실 수 있으며 어떠한 불이익도 없습니다.

>>언제든 참여의사 철회 가능. 불이익 일체 없음.
그런데 어떠한 불이익도 없다?! 그러면 안할 이유가 없지 않아? WHT NOT?

 

04 본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
본 사업에 참여하실 경우 별도의 비용 없이 임신 전 남녀의 건강검사 및 생활양식 중 이상 및 개선사항을 파악하여 중재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무료로 엽산제 제공 및 혈액 등의 임신준비를 위한 각종검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엽산제 3개월분 제공, 임신준비 위한 각종 건강까지 무료. 생각해보면 내가 낸 세금으로 이렇게 지원받을 수 있는거니 좋다..^^

 

위 04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적어둔 페이지 발견!! 
서울시 남녀임신준비 사업 참여시 장점
1. 적절한 시기에 임신 가능(경제적,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2. 기형발생과 조산을 예방함으로써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경제적으로 이익이 큼
3. 보다 젊은 나이에 임신함으로써 다운증후군 등 기형 발생 위험 줄임
4. 임신 전 엽산제(종합비타민) 복용으로 신경관결손증예방
: 신경관결손증은 임신 4-5주 사이에 발생, 하지만 대부분 임신 인지 후 산부인과방문 6-7주
5. 기형유발약물등 유해물질로부터 태아 보호
준비되지 않은 임신의 경우 2-3배의 약물, 방사선, 알코올, 흡연에 노출됨
(임신중 이소트레테노인의 경우 30%정도 기형발생)
6. 당뇨병있는 경우 당조절을 잘함으로써 기형발생 위험 줄임
(당뇨병에서 당 조절 되지 않는 경우 기형발생위험률 3배, 약 10%발생)
7. 기형예방을 통해서 정상아 출산 가능성 높임
(고혈압, 당뇨병, 천식, 심장질환 등이 있는 고위험 임신부 40% 정상아 출산 후
임신전 관리를 통해서 80%정상아 출산)
8. 난임이 조기에 진단되고 치료됨
(가임기 부부의 10-15% 난임이지만 이들 중 치료를 받는 경우 20-30%임)
9. 임신 준비에 참여함으로써 금연률을 높임으로써 정상체중아 출산
(흡연률: 임신전프로그램 방문횟수에 따라 첫방문시 18%, 두번째방문 12%. 세번째방문 10%로 줄어듦)

 

05 본 사업 참여시 예상되는 불편사항 및 신분의 비밀 보장
본 사업은 설문조사 및 검사 그리고 중재로 이루어져, 사업참여로 인한 신체적 위험성은 없습니다. 사업참여 과정 중 얻어진 정보에 대하여는 철저히 비밀이 보장될 것이며, 본 사업 목적 이외에 어떠한 용도로도 사용되지 않을 것임을 밝혀둡니다.

>> CPPG 공부하면서 보니까 개인정보에 이런것들도 민감정보로 들어가서 유출된다거나 하면 문제되던데, 개인정보 철저히 비밀 보장해준다고 함.

 

06 기타
*남성건강검진의 결과로 정액검사 등은 검사의료기관으로부터 거주지자체 보건소로 자료 이동
* 사업 모니터링단에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온라인 만족도 조사 실시(일부이용자에 한함)

본인은 본 사업의 참여에 앞서 설명된 모든 정보를 읽고 이해했으며, 자발적으로 본 사업에 참여하기를 원합니다.자문지(설문) 온라인 작성은 약 10분 정도 소요됩니다.

>> 10분이나 소요된다니..!!  신청이 금방 끝나는 줄 알고, 블로그 포스팅 하면서 신청하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절차가 좀 걸리는구나..^^ 무료로 검사받으려면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는 점. 그래도 10분정도 투자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설문조사 10분이면 시간도 좀 걸 것 같아서,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작성하고 더 쓸말이 있으면 추가로 글을 하나 더 써보는 것으로... 여기서 마무리해야겠다.

당장 임신할 것도 아니고 그냥 건강검진 하려는 의미로 쓴 글인데, 나중에 다시 찾아보려고 기록해본다.

써놓고 보면 언젠가 찾아볼일이 있더라.

 

 

다음 포스팅 >> 임신준비 건강평가 설문하기 - 설문결과지 건강평가요약표 확인하기

 

다음 포스팅 >> 서초구 보건소 산전검사 후기(남녀임신준비지원사업 건강검진)

 

다음 포스팅 >> 보건소 건강검진결과 온라인확인 (보건복지부 G-health 공공보건포털)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