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정리노트

보건소 건강검진결과 온라인확인 (보건복지부 G-health 공공보건포털) 본문

치료과정 기록

보건소 건강검진결과 온라인확인 (보건복지부 G-health 공공보건포털)

★★★★☆★☆★☆★☆ 2022. 10. 9. 19:31

보건소 건강검진 결과 확인하는 방법 (서초보건소 검진결과 후기)


얼마 전 보건소에서 임신 전 검강검진(산전검사)를 받고 왔는데, 일주일 정도 지나면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결과지를 받으러 보건소에 직접 갈 필요는 없고 온라인으로 확인이 가능했다.
보건소에서 건강검진 받은 뒤에 온라인으로 건강검진 검사결과 확인했던 후기를 기록해본다.

 

지난 포스팅 >> 서초구 보건소 산전검사 후기(남녀임신준비지원사업 건강검진)

 

서초구 보건소 산전검사 후기(남녀임신준비지원사업 건강검진)

서초구 보건소 산전검사 후기 (남녀임신준비지원사업 건강검진) 오전반차를 쓰고 서초구 보건소에 가서 건강검진(산전검사)를 받았다. 건강검진이라고 해서 오래 걸릴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금

polpolpoll.tistory.com

 

보건소에서 검사받고 검진결과 확인에 대한 안내는 직접 방문 또는 이메일통지라고 담당자 분과 이야기했던 것 같은데 정확하게 잘 기억이 나질 않았다.
결과가 나오면 문자/카톡/이메일 등으로 검사결과가 나왔으니 확인하라고 연락이 올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보건소에서 전화가 한 번 왔는데, AMH 결과가 나왔는데 직접 수령할지 이메일 수령할지 확인하는 연락이었다.
이메일로 받아보겠다고 대답했더니 메일로 보내주겠다고 하셨고, 다른 검사결과도 이메일로 같이 보내주시는 건지 물어보니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확인하면 된다는 대답을 받았다.

1.보건복지부 G-health 공공보건포털 사이트 접속

보건복지부 G-health 공공보건포털 (https://www.g-health.kr)
위 링크에 들어가면 보건소에서 검사받았던 내용 검사결과 조회가 가능하다.
나는 서초보건소에서 검진을 받았지만, 전국 모든 보건소에서 검진받았다면 위 사이트에서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지헬스 공공보건포털 사이트에서는 건강진단서,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예방접종 증명서 및 검진결과 등을 보건소 방문 없이 집에서 간편하게 온라인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회원가입은 따로 하지 않아도 되고, 공인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가 있으면 로그인해서 확인할 수 있다.

 

G-health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 캡쳐화면
G-health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 캡쳐화면

상단의 [온라인 민원서비스] - [통합검사결과 조회] 화면을 누르면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온다.
공동인증서가 있어야 하고, 따로 회원가입은 하지 않아도 되어서 편리하다!

 

G-health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 통합검사결과 조회화면
G-health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 - 통합검사결과 조회

로그인을 해주면 검사받았던 항목들이 위의 화면처럼 나온다.
출력도 가능한데, 출력버튼을 누르면 보안을 위해서 PDF 파일로 PC에 저장되고 암호를 입력해야 출력이 가능하다.
암호는 본인 생년월일이라고 팝업으로 안내문구가 나온다.

 

2. 건강검진 조화결과 확인

아래 화면은 제일 첫번째 '건강검진' 탭을 누르고 확인한 화면이다.

 

건강검진 조회결과1
건강검진 조회결과1
건강검진 조회결과2
건강검진 조회결과2

검진받기 전날인가부터 소변에 거품이 좀 나오는 느낌이라 걱정스러웠는데, 역시나 소변검사결과 이상값이 나왔다.
비중(뇨), 빌리루빈(뇨), 요단백 3가지 항목에서 이상값이 나왔고 혈압도 고혈압으로 측정되었다.
검사받은 날 엄청 걱정스러웠는데 며칠 지나고 소변에서 거품도 사라졌고, 소변에서 거품이 검출되는 것이 먹은 음식이랑도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어서 좀 더 지켜보기로 했다.

예전 건강검진 결과를 찾아보았는데 그때도 빌리루빈 수치가 이상하다고 나왔던 기억이 있어서 찾아보니, 장염 걸리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서 검진을 받았었던 시기였다. 이후에 다시 받았던 건강검진에서는 정상수치가 나와서 이번에도 일시적인 것이라고 생각함. 지켜보다가 또 소변에서 거품나오면 병원 찾아가볼 생각이다.


2-1. 간염검사 결과 조회

간염검사 결과조회
간염검사 결과조회

간염검사결과 B형간염표면 항원은 음성, 항체는 양성이 나왔다.
생각해보니 대학생때였나, 간염 항체가 없다고 엄마가 예방접종해야한다고 병원에서 팔에 주사맞았던 기억이 있는데 이 주사였나보다.

아래는 B형간염검사 결과 참고표라고 한다. 만일 본인이 음성이라고 나온다면 예방접종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

 

B형간염검사 결과 참고표
 
검사결과 설명
항원 항체
음성(-) 음성(-) B형 간염바이러스에 노출된 적도 없고 면역도 없으므로 예방접종을 받아야합니다.
음성(-) 양성(+) 이미 예방접종 등으로 면역이 형성되거나 간염을 앓고 치유된 것을 의미하며, 예방접종은 필요 없습니다.
양성(+) 음성(-) B형 간염바이러스가 있음을 의미하며(환자 또는 건강한 보균자)만성 간질환에 관한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2-2. 성병검사결과 조회

성병검사결과 조회
성병검사결과 조회


2-3. 갑상선검사결과 조회

갑상선검사결과 조회
갑상선검사결과 조회

갑상선 호르몬 수치는 정상으로 나왔고, 종합수치 확인 후 질환이 의심된다는 소견이 나왔다.




2-4. 풍진검사결과 조회

풍진검사결과 조회
풍진검사결과 조회

풍진검사결과는 임산하기 전에 꼭 해보아야 하는 검사라고 들었다.
임신하고 풍진에 걸리면 기형아를 낳을 확률이 매우 높아서, 임신 전에 미리 풍진예방주사를 접종한다고 한다.
이미
그래서 임신 준비중인 사람들은 생리기간에 풍진 예방접종을 하기도 한다고.

 

2-5. 방사선 검사결과 조회

방사선 검사결과 조회
방사선 검사결과 조회

엑스레이로 찍었던 검사결과인데, 폐결핵도 정상!


2-6. 임상병리 검사결과 조회

임상병리 검사결과 조회
임상병리 검사결과 조회

임상병리 검사결과 조회화면은 2개가 나오는데, 하나를 눌러보니 위의 화면처럼 AMH 검사결과 값응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화면을 눌러보니 위에서 확인했던 것과 비슷하게 종합적으로 건강검진했던 수치를 취합해서 표로 보여준다.
내용도 약간 중복인 듯 하다.

 

임상병리 검사결과 조회(종합1)
임상병리 검사결과 조회(종합1)
임상병리 검사결과 조회(종합2)
임상병리 검사결과 조회(종합2)

대부분 정상이고 이상수치는 역시나 소변검사결과 수치 (빌리루빈, 비중뇨, 요단백)

3. AMH 결과보고서 결과 상세확인

위에서 적은 것 처럼 AMH 결과 보고서는 공공보건포털에서는 단순 수치만 확인되고 결과보고서 조회 및 출력은 불가능하다.
아래는 보건소에서 이메일을 받아서 확인했는데, 보안설정된 PDF 파일 형식으로 전달받았고 주민번호 앞자리를 누르면 파일이 열려서 확인이 가능했다.


AMH(Anti Mullerian Hormone) 결과보고서

 

AMH 결과보고서

AMH 6.3ng/mL : 수검자의 연령대의 [중간값 이상 ~ 상위 5% 이하] 구간에 해당하며, 20세 여성의 중간값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AMH 검사는 일명 난소나이를 알 수 있는 검사라고 불리는데, 내 나이보다 10살 어린것도 아니고 무려 14살이나 어린 수치가 나왔다. 처음에 이 결과지를 보고 난소나이가 20살이라고 하니 신체나이가 어리게 측정된 것 같아서 좋았다.
생각해보니 건강검진해도 실제 나이보다 5살정도 적게 나오긴 하던데. 이것도 비슷한 것이겠지 생각을 했다.

그런데 생각을 해보니 내 나이보다 10살 이상 차이가 나는게 좀 의심스럽고 20살 여성의 중앙값보다 높은 수치라는게 좋은건지 아닌건지 알 수가 없어서 찾아보다보니 다낭성 난소증후군 환자의 경우 AMH 수치가 높게 나온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생리가 불규칙한 편이라 한달정도 건너뛴적도 많이 있었는데 이게 다 그런 이유 때문이었던걸까? ㅠㅠ
그나마 다행인 것은 올해 5월쯤부터는 한달에 한 번씩 규칙적으로 일반적인 주기에 맞게 생리를 하고 있다.
단순히 건강검진 저렴하게 한다는 마음으로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았던 건데, 이 수치를 보고 생각이 많아졌다...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은 AMH 수치가 낮은 것 보다는 높은게 낫다는 것.
그리고 지금이라도 검사를 받아서 결과를 알았으니, 나중에 혹시라도 임신이 안되어서 그때 원인을 찾기보다는 지금 미리 알아두어서 문제가 무엇때문인지 알 수 있었다는 것.

가족계획에 대해서 진지하게 남편이랑 생각해보아야 하는 타이밍이 온걸까.

Comments